잔망준형 AWS 프리티어에서 살아남기 데이터베이스 (2) 썸네일형 리스트형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외래키는 필수일까? 나는 백엔드 개발을 할 때,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비중을 높게 가져간다.(얘가 탄탄해야 나중에 되돌아 갈 일도 없고 그냥 내 마음이 편하다..) 근데 평소와 다르지 않게 외래키 제약을 걸면서 느낀 점이 외래키의 불편한 점일단 내가 개발을 하면서 느낀 불편한 점을 말해보겠다.외래키를 걸면 동시에 제약 조건들도 관리를 하게 되는데 이게 양이 많아 지고 데이터베이스에 종속이 되다 보니 오히려 관리가 어려워지는 느낌이 들었다.이럴 거면 차라리 한번에 애플리케이션 레벨(코드)에서 처리를 하는게 더 관리를 하기 쉬울 것 같았다. 그리고 또한 외래키가 걸려있으면 테이블을 생성하는 순서도 중요해지는데 이게 내가 쓰는 ORM 기술인 JPA 에서는 테이블 생성 순서 제어가 안되는 거 같아서 개발 단계에서 번거로워진다. 코.. [데이터베이스] 인덱스란 무엇인가? 인덱스란?데이터베이스에서의 조회 성능을 끌어올려주기 위한 기능이다.인덱스란 직역 하면 색인인데 즉, 원하는 빠르게 데이터를 찾기 위해 먼저 찾아보는 목차 같은 느낌이다. 인덱스가 없는 경우에는 FTS(Full Table Scan)로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항목을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다. 듣기만 해도 오래 걸릴 거 같은 방식이다.인덱스 알고리즘B-Tree ( Balanced Tree )인덱스 종류클러스터링 인덱스데이터베이스의 실제 데이터 자체가 정렬되고 그에 대한 인덱스가 생성되는 방식이다.얘는 실제 데이터는 하나이기 때문에 클러스터링 인덱스 또한 테이블 당 하나씩만 존재한다.보통은 Primary Key 필드에 자동으로 생성된다. 15를 찾는 상황이 있다. 인덱스 중 10에 접근해서 10 .. 이전 1 다음